- 공모주 투자가 어렵다면? 공모주 펀드 알아보기 목차
2021년은 공모주 투자가 상당히 인기있는 해였습니다. SK 바이오사이언스, 카카오뱅크 등 대기업 계열사가 상장하니 사람들이 몰려들어 어마어마한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었죠.
경쟁률이 높은 공모주는 수익률은 높더라도 배정받을 수 있는 주식이 적어서 실질적인 수익은 별로 없습니다.
그렇다고 경쟁률이 낮은 공모주를 하자니 그 말은 주가가 하락할 확률도 높다는 뜻이 됩니다.
쉬운 듯 쉽지 않은 공모주 투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공모주
공모주에 청약하려면 증권계좌가 있어야 합니다. 증권사 홈페이지나 앱, DART, 네이버 등에서 청약 일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은 공모주를 청약할 때 주식 수에 공모가와 증거금율을 곱한 증거금을 내야 합니다. 증거금율은 보통 50% 정도입니다.
청약 한도는 증권사, 거래 실적 등 조건에 따라 달라지고, 주식 배정은 2021년부터 균등배정 50%, 비례배정 50%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 투자자의 배정 비중은 30%입니다. 공모를 통해 받은 주식은 상장 당일부터 매도할 수 있습니다.
이미 상장된 기업도 아니고, 일일이 IPO 정보를 확인하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닙니다. 그래도 공모주 투자가 하고 싶다면, 공모주 펀드를 활용해보셔도 좋습니다.
공모주 펀드
공모주 펀드는 다양한 채권 투자 전략으로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확보하고, 공모주를 분석하고 투자해 수익을 올립니다.
보통 과거 수익률을 기준으로 추천하는 경우가 많은데, 과거 실적은 공모주 투자뿐 아니라 채권 투자에 따른 결과도 있습니다.
사실 공모주 펀드는 공모주의 비중보다 채권의 비중이 높은 경우가 많아서 높은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도 IPO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5~7월과 10~1월, 그리고 금리 하락 시기에 가입하면 기대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당연히,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도 있습니다.
하이일드펀드는 신용등급이 BBB+ 이하인 채권에 투자하면서 코넥스 주식 비중을 2% 이상 유지해 공모주 물량의 5%를 우선 배정받는 펀드입니다. 경쟁률이 높은 공모주를 배정받을 수 있고 채권의 수익도 기대해볼만 한 펀드입니다. 다만 그만큼 커지는 위험은 감수해야 합니다.
교보악사공모주하이일드플러스펀드, 흥국공모주하이일드펀드 등이 대표적입니다.
코스닥벤처펀드는 코스닥에 신주에 15%, 벤처 또는 벤처기업 해체 후 7년이 지나지 않은 기업 주식에 35% 이상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코스닥 공모주 물량의 30%를 배정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3년 이상 유지하면 300만원 한도로 투자금액의 10%가 2022년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브레인코스닥벤처펀드, 에셋원공모주코스닥벤처펀드,에셋원코스닥벤처공모주리츠펀드 등이 있습니다.
'투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펀드와 리츠 (0) | 2022.12.06 |
---|---|
헷갈리는 ELF 파생상품 이해하기 - ELF / ELT / ELB / ELD (0) | 2022.12.05 |
ELS란 무엇일까요? 다양한 구조의 ELS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2.12.01 |
외화 환전과 외화 투자 방법을 알아봅시다. (0) | 2022.12.01 |
채권 알아보기 4 - 후순위채 / 영구채 (0) | 202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