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알아보기 3 - 주식과 채권이 섞인 메자닌 채권(전환사채 / 신주인수권부사채)

2022년 11월 30일 by 아이소톡

    채권 알아보기 3 - 주식과 채권이 섞인 메자닌 채권(전환사채 / 신주인수권부사채) 목차

메자닌(Mezzanine) 채권

 

메자닌은 건물에서 층과 층 사이에 있는 중간층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금융에서도 메자닌이라고 하면 중간의 성격을 띤다고 보면 됩니다.

 

메자닌 채권은 안정적인 채권의 성격과 높은 수익을 가져다 주는 주식의 성격을 동시에 띠고 있는 상품입니다. 

가격이 오르면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고, 가격이 떨어지면 채권으로 유지하면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독특한 상품이죠.

 

메자닌 채권에는 전환사채(CB), 교환사채(EB), 신주인수권부사채가 있습니다. 

 

전환사채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CB)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채권입니다.

 

만기까지 보유하면 원금, 표면이자, 만기보장수익률 이자를 받습니다. 보유하는 동안 주가가 상승하면 채권가격도 따라서 오르는데, 채권으로 매도할 수도 있고, 주식으로 전환해 매도하여 추가 수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 회사채에 비해 낮은 금리로 발행할 수 있어서 회사는 자금 조달 비용을 아낄 수 있고, 채권이 주식으로 바뀐다면 부채가 자본으로 바뀌는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다만 주식으로 전환될 시 대주주의 지분율이 낮아서 경영권이 약해지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전환사채에서는 국공채나 회사채와는 달리 표면금리만기보장수익률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표면금리는 원래 채권에서 꼬박꼬박 주던 이자에 해당하는 금리입니다. 만기 시에는 만기보장수익률에서 표면금리를 빼고 연복리로 계산한 금리를 받게 됩니다. 

 

보통 발행 후 1개월부터 만기 1개월 전까지 주식으로 전환 청구할 수 있고, 상장법인은 3개월 후, 사모로 전환사채를 발행한 경우엔 1년 뒤에 전환하겠다고 청구할 수 있습니다. 

 

주식으로 전환하면 채권 액면을 전환가격으로 나눈 만큼 주식을 받습니다. 받기까지 2~3주가 걸리는지라 주식을 기다리는 동안 주가가 하락하면 손실을 보기도 합니다.

 

리픽싱(refixing)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전환 가격을 조정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주가가 떨어지면 전환가격을 낮춰주는 것이죠. 3개월에 한 번씩 조정하고, 최초 전환가격의 70%까지 낮출 수 있습니다. 

 

전환사채에 투자할 때는 기업의 안정성 뿐 아니라 리픽싱 조건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BW, Bond with Warrant)는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채권입니다.

채권처럼 만기 보유도 가능하고, 신주인수권을 행사해 주가가 올라도 약속한 가격에 주식을 살 수도 있습니다.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하면 채권자로서 지위를 잃는 반면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인수 금액을 별도로 납입하므로 채권을 매도하지 않는다면 채권자로서 지위가 유지됩니다. 회사는 채권이 유지되므로 부채는 유지되지만 자산은 늘어나게 됩니다.

 

사채와 신주인수권을 따로 떼어내 파는 분리형과 그럴 수 없는 비분리형이 있습니다. 

분리형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채권과 신주인수권을 따로 매매할 수 있습니다. 채권은 보유하고 신주인수권만 보유하는 행위가 가능합니다. 

 

세금

 

두 가지 유형의 채권에 투자할 때는 세금에 주의해야 합니다.

표면 금리로 계산한 이자를 받을 때는 이자소득세 15.4%가 붙지만 이자가 워낙 낮아서 상관 없습니다.

 

만기까지 보유할 때는 이자를 한꺼번에 받는데, 채권을 중간에 매도하거나 전환해도 보유 기간 동안의 이자 소득이 한꺼번에 잡힙니다. 

 

분리형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신주인수권은 상장 주식과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상장 기업 신주인수권 매매 차익은 비과세, 대주주와 비상장 기업의 신주인수권은 매매차익 발생시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직접 투자할 경우에는 비과세이지만 펀드로 투자할 경우에는 전부 과세됩니다. 메자닌채권에 투자하겠다면 펀드보다는 직접 투자하는 편이 세금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채권 알아보기 1

 

채권 알아보기 1 - 국공채란 무엇일까요?(국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

채권 채권은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이 일반 투자자로부터 비교적 긴 기간의 자금을 조달받기 위해 발행하는 차용 증서입니다. 누가 발행하느냐에 따라 국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로

isotope.tistory.com

채권 알아보기 2

 

채권 알아보기 2 - 회사채는 무엇일까요?

회사채 회사채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려고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보통 만기 3년에 이자는 3개월마다 지급하는 형태입니다. 채권은 표면금리, 매매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등 수익률 표기 방식이

isotope.tistory.com

채권 알아보기 4

 

채권 알아보기 4 - 후순위채 / 영구채

후순위채 후순위채는 채권 발행 기업이 파산할 때 돈을 받을 수 있는 순서가 뒤로 밀린 채권입니다. 기업이 부도나면 담보가 있는 채권자가 우선 변제받고 남는 자산을 무담보 채권자에게 돌립

isotope.tistory.com